이제 기본적인 명령어를 알게 됐다면
본격적으로 CentOS에 패키지를 깔아서
서버로 활용할 만한 번듯한 것들을 구축해봐야겠죠?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방화벽과 데몬입니다
방화벽은 윈도우에서도 사용해보신적이 있을겁니다
CentOS에서도 방화벽이 있습니다
특정 기능을 위해서는 이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1. 방화벽 확인
firewall-cmd --list-all
2. 방화벽 열기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원하는 서비스와 포트를 추가합니다
3. 방화벽 리로드
firewall-cmd --reload
포트와 서비스 추가/제거 후 리로드를 해줘야 적용됩니다
4. 방화벽 제거
firewall-cmd --permanent --remove-port=80/tcp
firewall-cmd --permanent --remove-service=http
5. 실습
20/tcp, 21/tcp 포트와 vsftpd 서비스 추가 후 제거해보기
해당 방법 외에도 직접 방화벽 설정 파일을 편집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1. vi /etc/firewalld/zones/public.xml
해당 방법을 사용해서 파일을 편집하더라도,
reload는 별도로 해주어야 합니다
firewall-cmd --reload
데몬프로세스
쉽게 생각해서 지금 실행중인 프로그램 같은거
끄고 다시 키고 뭐 그런거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ystemctl restart [이름]
systemctl reload [이름]
systemctl status [이름]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FTP 관련 보안 설정 (0) | 2023.01.24 |
---|---|
[CentOS] FTP서버 만들기 (0) | 2023.01.24 |
[CentOS] vi 편집기 (0) | 2023.01.24 |
[CentOS] 기본명령어(3) - 기타 명령어 정리 (0) | 2023.01.24 |
[CentOS] 기본명령어(2) - 생성, 복사, 이동, 삭제 (0)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