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entOS 14

[CentOS] 마운트/오토마운트

Vmware Workstation 환경에서 CentOS 기준으로 스토리지 마운트, 오토마운트를 설정해보겠습니다 먼저, 마운트란? 쉽게 생각해서 저희가 윈도우에서도 디스크를 추가하면 디스크 관리자에 들어가서 기본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리눅스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하겠죠? 그게 마운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1. HDD 추가 여기서는 테스트를 위한 것이니 간단하게 8GB HDD를 추가하겠습니다 용량 외의 설정은 그냥 기본 설정 그대로 두고 'Next' 클릭하여 넘기면 됩니다 HDD가 추가되었네요 이제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을 클릭하여 CentOS를 부팅합니다 2. 디스크 파티션 설정 먼저,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디스크 상태를 확인합니다 df -h 저희가 추가한 8GB HD..

OS/CentOS 2023.01.29

[CentOS] 사용자 생성, 삭제, 수정, 비밀번호 설정

일반적으로 CentOS를 설치하게 되면 일반사용자를 기본적으로 생성하게 되어있고 제가 따로 생성하지 않아도 최고관리자 root 계정이 기본적으로 생성됩니다 그러나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이를 제외하고서도 여러 사용자를 생성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1. 사용자 생성 useradd [옵션] 사용자이름 이렇게 'mandu1'이라는 사용자를 생성하였습니다 그럼 사용자 정보를 확인해봅시다 2. 생성된 사용자를 확인 cat /etc/passwd /etc/passwd 파일은 CentOS에 있는 사용자들의 목록이 저장된 파일입니다 우리가 생성하지 않더라도 CentOS에서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렇게나 많은 사용자들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생성한 사용자들에 대해 보고 싶다면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OS/CentOS 2023.01.26

[CentOS] FTP 관련 보안 설정

1. 익명접속 설정 사실 이전 글에서 FTP 서버에 접속할때 사용자명을 입력했지만, 원래 FTP 서버에 접속할땐 익명으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보안상으로 좋지 않겠죠 익명 접속을 막아봅시다 vi /etc/vsftpd/vsftpd.conf anonymous_enable=NO 로 수정하고, 데몬 프로세스를 재실행합니다(systemctl restart vsftpd) 이제 익명접속이 불가능합니다 2. 업로드, 다운로드 권한 설정 원래 FTP서버에 접속하면 파일을 서버에 올릴수도 있고, 다운로드받을수도 있지만 둘 중 하나만 가능하게 하던가 하는 등의 설정 또한 가능합니다 vi /etc/vsftpd/vsftpd.conf 해당 부분을 수정한 뒤 데몬재실행하여 설정이 가능합니다 3. 루트 디렉토리 감추기..

OS/CentOS 2023.01.24

[CentOS] FTP서버 만들기

CentOS에서 FTP 서버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회사에서 보안 정책에 따라 공유폴더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어서 저희팀은 FTP 서버를 별도로 구성해두고 해당 FTP 서버를 통해 인수인계할 파일, 교육자료 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이래저래 사용할 일이 생각보다 많은 녀석입니다 1. FTP 설치 yum -y install vsftpd-* 2. 방화벽 설정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tcp 3. 데몬프로세스 설정 systemctl enable vsftpd systemctl restart ..

OS/CentOS 2023.01.24

[CentOS] CentOS 본격 학습 - 방화벽과 데몬

이제 기본적인 명령어를 알게 됐다면 본격적으로 CentOS에 패키지를 깔아서 서버로 활용할 만한 번듯한 것들을 구축해봐야겠죠?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방화벽과 데몬입니다 방화벽은 윈도우에서도 사용해보신적이 있을겁니다 CentOS에서도 방화벽이 있습니다 특정 기능을 위해서는 이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1. 방화벽 확인 firewall-cmd --list-all 2. 방화벽 열기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원하는 서비스와 포트를 추가합니다 3. 방화벽 리로드 firewall-cmd --reload 포트와 서비스 추가/제거 후 리로드를 해줘야 적용됩니다 4...

OS/CentOS 2023.01.24

[CentOS] vi 편집기

리눅스에서는 특정 설정을 위해서는 거의 대부분 직접 설정 파일을 열어서 해당 파일에 있는 내용을 직접 편집해야합니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편집기가 vi 입니다 vi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을 연 뒤, vi 편집기 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파일 내용을 편집합니다 아래는 명령어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아무 파일이나 하나 만들어서 직접 사용해보는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1. 파일 열기 vi [파일명] 해당 파일이 없다면 새 파일이 생성되면서 빈 문서가 열립니다 2. 파일을 연 상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명령모드) (1) : set nu 줄 표시 (2) h, j, k, l 방향키, CentOS에서는 키보드의 화살표 방향키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다른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사전에 hjkl을 사..

OS/CentOS 2023.01.24

[CentOS] 기본명령어(3) - 기타 명령어 정리

여러 명령어들을 정리합니다 쓰다보면 익숙해지는 것들도 있고 잘 사용하지 않아서 검색해봐야 기억나는 것들도 있습니다 1) pwd - 위치 확인 2) cd - 이동 3) ls - 디렉토리 내에 뭐가 있는지 보는 명령어 4) cp - 복사 5) mv - 이동 6) mkdir - 디렉토리 생성 7) rmdir - 디렉토리 삭제 8) rm - 삭제 9) alias - 명령어 등록 10) cat - 파일 내용 보기 11) touch - 파일 생성 12) head & tail - 파일 내용 잘라서 보기 13) more - 파일 내용 보기 14) less - 파일 내용 보기 15) cal - 달력 보기 16) rdate - 시간 보기 17) date - 날짜 보기 18) man - 메뉴얼 보기 19) find - 원하..

OS/CentOS 2023.01.24

[CentOS] 기본명령어(2) - 생성, 복사, 이동, 삭제

1. 디렉토리 생성 mkdir -p 옵션을 사용하면 아래처럼 두 개의 디렉토리를 동시에 생성하는것도 가능합니다 2. 디렉토리/파일 복사 cp [옵션] 원본 [원본] ... [원본] 복사할위치[+이름] cp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렉토리/파일 복사가 가능하고, -p 옵션을 사용하면 각 디렉토리/파일에 대한 모든 설정 그대로 복사도 가능합니다 디렉토리 복사는 -r 옵션이 필요합니다 복사해서 붙여넣을때 이름을 변경해서 붙여넣을수도 있습니다 3. 디렉토리/파일 이동 mv [옵션] 원본 [원본] ... [원본] 이동할위치[+이름] 이동(잘라내기+붙여넣기) 파일/디렉토리 전부 이동가능(별도 옵션 필요없음) mv명령어는 이름바꾸기 명령어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4. 디렉토리/파일 삭제 rm [옵션] -f : 확인과정 없이 ..

OS/CentOS 2023.01.24

[CentOS] 기본명령어(1) - 경로 관련 명령어

1. 명령어 입력 시 주의사항 (1)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대문자와 소문자를 무조건 서로 다른 문자로 인식한다 (ex) I와i는 다른 문자) (2) 기본적으로 명령어는 한줄에 명령어 하나만 입력 하나의 대상에 여러 명령어를 적용시키는 기호가 존재하며, 그 기호를 사용하지않으면 명령어는 하나만 사용이 가능하다 2. 경로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찾아가는 길 - GUI환경이라면 직관적으로경로를 볼 수 있지만 CLI환경에서는 직접 볼 수없다 - 따라서 리눅스같은 CLI 환경을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3. 주요 명령어 (1) cd - 내가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를 이동(변경), 윈도우에서 폴더 더블클릭한다고 생각하면 됨 - cd명령어는 보편적으로 뒤에 대상이 온다 (2) ls - 현재..

OS/CentOS 2023.01.24

[CentOS] 디렉토리란?

1. 디렉토리 윈도우의 '폴더'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모든 운영체제는 디렉토리로 이루어진 tree구조로 되어있다 수업에서는 그 중 /디렉토리 내부에 기본적으로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확인 예정 : tree구조의 가장 꼭대기가 /노드, root node라고 부른다 ls -l / 입력하면 확인가능 2. 주요 디렉토리들의 역할 /bin : 공용 명령어(관리자와 일반사용자 모두 사용가능한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로 연결되는 링크 파일 /sbin : 시스템 제어 명령어(관리자 전용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로 연결되는 링크파일 /boot : 부팅할때 필요한 이미지파일과 각종 설정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dev : device의 약자, 운영체제가 장치를 인식한 후,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장치 파일을 ..

OS/CentOS 202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