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entOS

[CentOS] Vmware Workstation을 사용하여 CentOS 설치하기(2)

부침만두 2023. 1. 24. 14:05

이전 글에 이어 본격적으로 CentOS를 설치해보겠습니다

 

1. 가상머신 부팅

Install CentOS 7 선택

 

아참! 마우스로 화면의 빈 공간 클릭 후,

마우스가 아니라 키보드 화살표로 선택하셔야 합니다

가상머신 화면에서 빠져나오려면 ctrl+alt 를 눌러주세요

 

korean 검색하여 한국어 선택 후 '계속 진행' 클릭
'소프트웨어 선택' 클릭
'서버 - GUI 사용' 클릭 후 '완료' 클릭
'설치 대상' 클릭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체크 후 '완료' 클릭
'표준 파티션' 선택 후 '+' 클릭

 

아래 파티션 설정할때 마운트 지점을 직접 입력하지 마시고

옆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목록에서 선택하여 진행하세요

혹시 모를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요

 

swap에 2048입력 후 '마운트 지점 추가'클릭
boot에 1024 추가
/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추가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남은 모든 용량이 /에 지정됩니다

 

boot와 /의 파일 시스템은 ext4로 설정해주세요
설치가 시작됩니다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암호설정, 사용자 생성 등을 진행해주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클릭하여 재부팅!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2. 설치 후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설정

재부팅 후 라이센스에 동의하면 CentOS가 실행됩니다

라이센스 동의 후 '설정 완료' 클릭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
사용자 이름 'root'
설치 당시 설정한 비밀번호 입력하여 로그인

 

리눅스에서 root는 관리자입니다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계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서버에서 root 계정은 함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지만

처음엔 root 계정을 사용하여 이것저것 공부해보는게

더 편하고 도움이 될 겁니다

 

 

이런건 윈도우 처음 깔때도 흔히 보는 것들이니

그냥 편하신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드디어 CentOS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CentOS 사용을 위한 몇가지 기본설정만 진행해주면 됩니다

 

 

2-1. 네트워크 설정

전원버튼 클릭 - '유선 네트워크 설정' 클릭
유선 네트워크를 켜주시고 옆의 톱니바퀴 클릭!
'자동으로 연결' 체크
IPv4 선택 후 위와 같이 입력

 

본인이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아시는대로 해도 무방합니다만

모른다면 제가 한 설정을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설정 적용 후 네트워크를 껐다켜주세요
상단의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접속
'Change Settings' 클릭

 

혹시나 여기서 'Change Settings' 클릭이 불가능하다면

본인의 Windows 계정에 관리자 권한이 없는 겁니다

구글 검색을 통해 찾아보셔서 Windows 계정을 관리자로 설정해주세요

 

VMnet8 클릭 후, 위와 동일하게 설정

 

이제 설정이 잘 됐는지 확인해봅시다

혹시 모르니 유선 네트워크 설정을 아까처럼 껐다 켜보셔도 좋습니다

안될땐 재부팅, 리로드가 답....^^;;;

 

바탕화면 우클릭, '터미널 열기' 클릭
ping 8.8.8.8 입력

 

아래와 같이 뜬다면 인터넷 연결 성공!

 

 

2-2. Selinux

 Selinux는 보안과 관련된 설정인데,

사실 이거때문에 서비스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일반적으로 'disabled' 상태로 두어 Selinux를 해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KT Cloud를 사용해보고 있는데, KT Cloud에서는 CentOS Server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Selinux가 'disabled' 상태로 되어 있더라구요

 

보안적인 부분은 사실 다른 방면으로 챙기면 되는 부분이라....

암튼 여기서는 Selinux를 해제합니다!

 

vi /etc/selinux/config 입력
SELINUX를 disabled로 변경

 

vi 편집기를 처음 사용해보신다면, 

(원래 이렇게 하면 안되지만)

키보드 화살표를 사용하여 원하는 줄로 이동하시고 나서

delete키로 글자를 지우시고

키보드에서 'i' 를 클릭하여 'disabled'를 입력하세요!

그리고 나서 esc를 누르신 뒤

':wq!'를 입력하여 나오시면 됩니다

 

poweroff 명령어를 입력하여 전원을 끄세요!

 

2-3. iso 파일 제거하기 

이제 설치할 때 사용했던 iso 파일을 제거합니다

사실 제거하지 않아도 별 문제는 없는데, 저는 깔끔한게 좋아서요!

 

전원을 끈 가상머신에서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클릭합니다
'CD/DVD (IDE)' 클릭 후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이제 설치가 모두 끝났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PuTTY를 이용하여 접속하여

CentOS 사용을 위한 모든 준비를 끝내겠습니다

다다음 글에서야 본격적인 리눅스 사용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