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entOS

[CentOS] 사용자 생성, 삭제, 수정, 비밀번호 설정

부침만두 2023. 1. 26. 01:48

일반적으로 CentOS를 설치하게 되면

일반사용자를 기본적으로 생성하게 되어있고

제가 따로 생성하지 않아도

최고관리자 root 계정이 기본적으로 생성됩니다

그러나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이를 제외하고서도 여러 사용자를 생성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1. 사용자 생성

useradd [옵션] 사용자이름

 

이렇게 'mandu1'이라는 사용자를 생성하였습니다

그럼 사용자 정보를 확인해봅시다

 

 

2. 생성된 사용자를 확인

cat /etc/passwd

 

/etc/passwd 파일은 CentOS에 있는 사용자들의 목록이 저장된 파일입니다

우리가 생성하지 않더라도 CentOS에서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렇게나 많은 사용자들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생성한 사용자들에 대해 보고 싶다면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내용 중 아랫 부분의 내용만 보는것이 편합니다

대충 5줄 정도만 짤라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ail -5 /etc/passwd

 

위에서 생성한 사용자 mandu1이 보이네요

그러면 해당 파일에서 제일 앞은 사용자 이름이고...나머지는 뭘까요?

사용자 정보에 대해 알아봅시다

 

1000, 1001로 이어지는 숫자들은 고유 넘버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1~999까지의 숫자들은

패키지 설치 혹은 CentOS 설치 시 필요한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이미 예약되어 있는 번호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저희가 생성하는 사용자들은 1000번부터 번호를 부여받습니다

 

/home/mandu1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입니다

학교 다닐때 받던 제 사물함과 같은 거죠

홈 디렉토리는 사용자 생성시 제가 따로 위치를 별도로 지정할수도 있고

기존에 지정된 홈 디렉토리의 위치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bin/bash는 사용자가 사용할 shell에 대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CentOS에서는 거의 대부분 bash를 사용하니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사용자 생성시 자주 사용하는 옵션

-d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s

사용자의 shell을 지정합니다

 

-u

사용자의 uid(1000, 1001로 이어지는 번호)를 지정합니다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1000번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됩니다

 

 

4. 사용자 정보 수정

usermod [옵션] [옵션과 관련된 사항] 사용자명

3번에 적힌 옵션들을 사용자 정보 수정시에도 모두 사용가능합니다만

여기서 주의할 점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위치를 수정할때입니다

 

usermod -d /mandu mandu1 명령어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위치를 변경해볼게요

 

어라라 변경하고나니 홈 디렉토리를 못찾습니다

이유는 홈 디렉토리 위치만 변경됐지 사실 기존의 홈 디렉토리였던

/home/mandu는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홈 디렉토리 안에 있는 내용들을 복사하여 변경된 위치로 붙여넣거나

-m 옵션을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5. 사용자 삭제

userdel [옵션] 사용자이름

사용자 삭제시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옵션은 -r 옵션입니다

사용자를 삭제해도 기본적으로 CentOS에서는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와 같은 부분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거든요

따라서 r 옵션을 사용하여 해당 부분들도 함께 삭제해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잘 삭제되었네요

 

 

6. 비밀번호 설정 및 변경

passwd 사용자이름

마지막으로, 사용자를 생성했으면 해당 사용자로 로그인도 해봐야겠죠?

그런데 우리는 사용자를 생성할때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비밀번호는 위의 passwd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합니다

 

비밀번호를 수정할때도 동일하게 진행합니다

CentOS를 비롯한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비밀번호 변경시 현재 사용중인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원래 암호 입력을 해도 화면엔 보이지 않으니

걱정마시고 자신있게 입력하세요

 

이제 생성한 사용자로 PuTTY로그인을 해봅시다

 

 

잘 되네요

 

 

+) 추가

root로 로그인하면 앞에 #이, 일반사용자로 로그인하면 $가 표시됩니다

일반사용자로 로그인한 뒤에 root 권한을 얻고싶으면

su - 

를 입력하여 root 권한을 얻습니다

일반적으로 root 로그인은 막아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의 명령어를 익혀두는것이 좋습니다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려면 su [사용자명] 형태로 가능합니다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마운트/오토마운트  (0) 2023.01.29
[CentOS] FTP 관련 보안 설정  (0) 2023.01.24
[CentOS] FTP서버 만들기  (0) 2023.01.24
[CentOS] CentOS 본격 학습 - 방화벽과 데몬  (0) 2023.01.24
[CentOS] vi 편집기  (0) 2023.01.24